만남의 향기 06 - 이남덕 교수 (이화여대 대불련 지도교수)
페이지 정보
작성자 김연호 작성일2011.11.27 조회4,894회 댓글1건본문
![](http://www.daebul.or.kr/data/cheditor4/1111/e440752484e96c9b944885940a6d88b4_vtQwg6MlntzeK9QAl.jpg)
世世常行菩薩道 1999. 12월 8일 영주(瑩宙) 이남덕 합장
지금부터 7년 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글날 기념식 자리에서였다.
한글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받으시는 분들 중에 좀 색다를 할머님 한 분이 계셨는데, 바로 이화여대 국문과 교수로 퇴직하신 후 계룡산 대자암에서 수행을 하시다 회색 법복 차림 그대로 식장에 나타나신 이남덕 박사였다.
부군은 앞날 서울대 역사학과에서 재직했던 김성칠 교수로 해방 직전 제천의 봉양금융조합 이사로 재직한 관계로 몇 해를 제천에 사신 인연도 있었다.
난 이러한 사실을 김성칠 교수의 일기집인 '역사 앞에서'를 감명 깊게 읽고서 알게 되었다.
물론 이미 이남덕 교수의 수필집인 '어느 산골 앉은뱅이의 기원'과 '팔순의 연꽃 한 송이' 등을 잔잔한 감흥으로 읽은 바 있었다.
또한 우리는 선우 결사회원이시기에 존경심은 더 했다.
이런 연유로 이남덕 보살님을 제천법회에 꼭 한번 모시고 싶었다.
이 소망이 무르익어 모시게 되었을 때 먼저 우리 집으로 오시어 다담(茶談)의 자리가 마련되었다.
보살님 이야기에 의하면, 부군이 제천에 계실 무렵 한반도 전국의 초등학교 교장께 서신을 보내 그 지방 자연마을의 유래와 현재 호수, 주민의 수, 역사 배출 인물 등등에 대하여 기록하여 보내 줄 것을 요청했었다고 한다.
그에 대한 답이 속속히 도착하기 시작하던 중에 해방이 되어 서울대학으로 가게 되고, 곧 삼팔선이 가로 막히고 설상가상으로 얼마 후에 세상을 떠나시는 바람에 중단이 되고 말았다고.
만약에 이 일이 제대로 성과를 보았다면 한반도 전체를 아우르는 대한의 향토사가 되었을 것이라고 애석해하셨다.
듣고 보니 이보다 더 안타까운 일이 또 있으랴 싶었다.
수행과 글만큼이나 얼굴과 몸에서 법향(法香)이 스며나는 이남덕 보살님.
나의 잡문집에서 '야껴져야 할 사랑이란 언어'란 소재 글이 좋더라고 대자암에서 온 전화가 어제의 일 같은데 이젠 뇌질환에 의한 불성세고(不省世故)로 90세의 여생을 맞고 계신다니 마음이 아프다.
![](http://www.daebul.or.kr/data/cheditor4/1111/e440752484e96c9b944885940a6d88b4_bM8JnBw2AZ6ywvy4vfIpU9UeaLbDOlDm.jpg)
이남덕 박사님과 무위성 보살. 1999년 11월
댓글목록
이성균님의 댓글
이성균 작성일
이남덕보살님, 우리 대불련 이화여대 불교학생회 지도교수님 대단하십니다.
그러하신 분을 제천법회에까지 모신 형님도 참 대단하십니다.
이남덕보살님, 얼마 남지 않으신 여생,, 평안하게 잘 사시다가 편히 가시길 기도해봅니다.